• 소식
  • 보도자료·논평
  • 보도자료·논평

보도자료·논평

국민의힘 공식 성명 및 보도자료입니다.

노대통령 당선 후 돈벼락의 규모를 밝혀야![논평]
작성일 2007-11-27
(Untitle)

  그동안 노대통령은 당선축하금은 없다는 입장을 표명해왔다.

 

  당선축하금은 무엇인가?

 

  대통령 선거가 끝나 선거자금 소요의 이유가 없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당선자 측이 불법으로 금품을 수수한 행위를 포함해 당선자 신분으로 받은 포괄적 금품을 미화해 포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행위가 2002년과 2003년 부패척결을 외치던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측근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일예로 노대통령의 최측근 최도술 前 청와대비서관은 당선자 시절 SK와 부산지역 건설업체로부터 10억 4500만원을 받았다.

 

  노대통령의 부산상고 동문이자 측근인 이영로는 대통령 선거 개표가 끝나기도 전인 2002년 12월 19일 밤 최도술의 알선으로 SK 손길승 회장에게 금품을 요구했고, 이후 12월 25일 11억원의 CD를 받았다. 이영로는 이듬해인 2003년 1월과 2월에도 (주)반도종합건설 회장으로부터 3차례에 걸쳐 9억 5천만원, 장복만 (주)동원개발 회장으로부터 3억원을 받았다.  

 

  노대통령의 오른팔이라고 불리던 안희정도 선거가 끝났고, 특별히 선거가 눈앞에 있던 시기도 아닌 2003년 3월과 6월에 (주)태광실업 회장에게 2억원, (주)반도종합건설회장으로부터 2억원을 수수했다.

 

  노무현대통령의 경선당시 대변인이었던 유종필 민주당대변인은 2003년 10월 16일 “대선 당선 후 노대통령 측근과 참모들이 돈벼락에 정신을 잃었다”고 주장했다.

 

  노대통령 측근의 사정을 잘 알고 있었던 유종필 대변인의 말이라서 더욱 신뢰가 간다.

 

  돈벼락의 규모, 시기에 대해 이제는 노무현대통령이 스스로 밝혀야 할 것이다.

 

  삼성으로부터 받은 것  뿐 아니라 일체의 당선축하금에 대해 고해성사를 해야한다.

 

  대선자금 수사 후 검찰의 발표처럼 검찰은 대통령의 불소추특권을 이유로 수사를 하다말았다.

 

  그동안 나온 것이 없다는 이유로 당당하다 할 것이 아니라는 대목이다. 다시 한 번 대통령의 고백을 권유한다.


※ 1. 2002년 대선 이후 노대통령 측근이 받은 비자금 내용
    2. "대선 후 밀려드는 돈벼락에 盧 386 측근 등 이성 잃어"
      - 중앙일보 2003년 10월 16일

 

 

2007.   11.   27
한  나  라  당   대  변  인   나  경  원

 

1. 2002년 대선 이후 노대통령 측근이 받은 비자금 내용
 

이름

날짜

내용

비고

안희정

2003/3

박연차 (주)태광실업 회장, 2억

 

2003/6

권홍사 (주)반도종합건설 회장, 2억(일주일 뒤 1억은 반환)

 

최도술

2002/12 이후

SK그룹과 부산지역 건설업체,

10억 4500만원

 

이영로

2002/12/19

손길승 전 SK그룹 회장에게, 11억 CD로 받음

 

2003/1월 이후

권홍사 (주)반도종합건설 회장 3차례 걸쳐 9억 5천

 

2003/2

장복만 (주)동원개발 회장, 3억

 

 

2. "대선 후 밀려드는 돈벼락에 盧 386 측근 등 이성 잃어" 중앙일보 2003-10-16

 

[중앙일보 이정민 기자] 민주당 유종필(柳鍾珌)대변인이 16일 노무현 대통령의 측근과 참모들을 겨냥, "이들이 대선 당선 후 밀려온 권력의 파도와 돈벼락에 이성을 잃었다"고 말했다. 柳대변인은 지난해 민주당 후보경선 때 공보특보로 일하는 등 盧대통령 캠프에서 활약했었다.

 

柳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대선 직후인 12월 말은 盧캠프가 돈벼락을 맞았던 시기로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밀려드는 후원에 정신을 차리지 못했다"면서 "파도가 몰아치면 입을 다물어도 짠물이 몇방울씩 들어오게 마련인데 당시엔 모두가 정신없이 입을 벌리고 있었다. 마치 이참에 못 먹으면 안 될 것처럼 달려들더라"고 전했다.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등 부산 출신 측근들에 대해선 "대선 전후로 부산상고 동문인 중소기업인과 대기업 임원들이 盧대통령에게 줄을 대느라 혈안이 됐었다.

 

내게도 盧대통령과의 자리를 마련해 달라는 제안이 수차 들어왔지만 피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부산 기업인들은 盧대통령과 연결하려면 누구에게 접근해야 하는지 다 알고 있었다. 부산 출신 참모들이 완전히 말아먹는다는 얘기는 진작부터 나왔다"는 말도 했다.

 

柳대변인은 386측근들을 겨냥, "노는 품새가 걱정되는데 결국 모두 물갈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캠프 내에서)부산 사람들이 설쳐서 나는 돈 문제를 몰랐다"면서 "난 활동비로 월 1백만원을 받았는데 자기들은 돈을 마구 쓰더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나는 DJ정권에 참여해봐 권력의 속성을 잘 알고 있어 조심했기 때문에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측은 "柳대변인이 지금 (盧대통령과)정치적 이해관계를 달리한다고 그런 말을 할 수 있느냐"고 반박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