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미디어특위 공식 성명 및 보도자료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소통위원회 기자회견에서 연합뉴스를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했다고 밝혔다. 문제 삼은 것은 4월 11일자 연합뉴스 기사 속 단 8글자, “민주당 경선룰 진통”이라는 표현이다.
※ 관련 기사 : 연합뉴스 <비명계 "'어대명' 추대경선 들러리냐"…李 "어떤 결정도 수용"> (4.1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24276?sid=100
당내 경선 룰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오가는 건 민주주의의 정상적인 절차 중 하나이다. ‘진통’이라는 표현 역시 정치 기사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반적인 단어에 불과하며, 실제로 민주당 일부 인사들이 경선 과정에 대해 반발한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민주당은 해당 보도가 마치 갈등을 조장한 것처럼 문제 삼고, 연합뉴스를 상대로 언론중재위원회 제소에 나선 것이다.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공적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인 연합뉴스에 언중위 제소를 가하는 것은 언론 전반에 ‘조심하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며, 명백한 위축 효과를 노린 것이나 다름없다.
국민의힘 송언석 의원 역시 민주당의 언중위 제소 행태에 대해 자신의 페이스북에 입장문을 밝히고, “민주당의 언론 겁박은 또 다른 독재의 서막”이라고 지적했다.
이후 민주당이 해당 보도 언중위 제소를 취하했다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민주당이 정상적인 언론 활동에 재갈을 물리려 시도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민주당은 자신들을 향한 비판을 수용하는 민주적 태도부터 갖추길 바란다. 과도한 언중위 제소 남발로 언론을 탄압하는 것은 결국 자신들에 대한 불신만 키울 뿐임을 명심해야 한다.
2025. 4. 15.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 (위원장 이상휘)
---------------------------------------------
별 첨. [송언석 의원 현안 입장문]
<이재명 입맛 안 맞는 기사엔 제소? 더불어민주당의 언론 겁박, 또 다른 독재의 서막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연합뉴스를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했습니다. 문제 삼은 것은 단 한 문장, “대선 경선 룰 결정 과정에 진통이 있었다”는 보도입니다.
경선 과정에서의 논쟁과 조율은 정치의 본질이자 상식입니다. ‘진통’이라는 표현은 언론 보도에서 자주 쓰이는 일반적인 용어일 뿐이며, 이를 문제 삼는 것은 곧 ‘비판은 허용하지 않겠다’는 선언과 같습니다.
실제로 이재명 대표를 제외한 비주류 인사들은 경선 룰 논의 과정에서 자신들의 의견이 철저히 배제됐다고 공개 반발했습니다. “불통”과 “일방통행”이라는 비판이 쏟아진 상황에서 해당 표현이 과장이라는 민주당의 주장은 설득력을 잃습니다.
연합뉴스는 단순한 언론사가 아닙니다. 전국의 지역 언론과 온라인 매체에 기사를 공급하는 국가기간통신사입니다. 이곳에 언론중재위라는 법적 채찍을 휘두르는 것은 곧 전국 언론의 펜을 꺾겠다는 협박과 다름없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연합뉴스를 시작으로 언론 전반을 ‘길들이기’ 하려는 것인지, 아니면 ‘받아쓰기식 어용언론’을 만들려는 것인지 강한 의심을 지울 수 없습니다. 자신들을 향한 비판, 조금이라도 불편한 기사엔 곧장 제소장을 내미는 모습은 민주주의 정당의 태도와 거리가 멉니다.
언론의 자유는 국민의 눈과 귀를 지키는 최후의 보루입니다. 이재명 대표와 더불어민주당은 언론중재위를 ‘보도 통제 수단’으로 삼으려는 시도를 즉각 중단하고, 비판과 감시를 감내할 최소한의 민주적 자세부터 갖추기 바랍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