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식
  • 보도자료·논평
  • 원내

원내

국민의힘 원내 공식 논평 및 보도자료입니다.

국제사회도 요구하는 윤미향 의혹 철저수사, 민주당만 외면. 개원국회부터 의회 1당독재로 치닫는 민주당이 더욱 우려되는 까닭 [최형두 원내대변인 논평]
작성일 2020-06-04


정의연과 윤미향 전 이사장의 정부 보조금, 국민기부금 횡령 의혹에 대해 어떤 정치적 고려도 개입되지 않은 철저한 수사를 촉구한다.”

 

지난 2007년 미국 연방의회 최초로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를 요구한 위안부 결의를 주도한 마이크 혼다 전 하원의원이 미국 내 위안부 정의연대’(CWJC: Comfort Women Justice Coalition) 공동의장 릴리안 싱, 줄리 탱과 함께 촉구한 내용이다.

 

이들은 검찰수사 대상인 윤 씨가 정부 여당의 비호를 받고 이용수 할머니는 오히려 인신공격 당하고 있는 한국 상황을 개탄했다.

 

혼다 전 의원은 특히 "미 하원이 만장일치 결의로 일본에 대한 사죄 요구를 이끌어 낸 최대 공로자는 바로 이용수 할머니였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할머니가 정의연 윤미향 전 이사장의 기부금 유용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해 "잘못과 불의를 목격한다 해도 그에 대해 목소리를 내기란 쉬운 일이 결코 아니다며 이용수 할머니의 용기를 높이 평가했다.

 

10년 전부터 윤미향 전 이사장의 횡령 의혹이 반복되고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정의연 운영방식의 문제점을 호소하고 있을 때 이 미국인들은 일본의 사과와 역사교육을 위한 시민 활동을 계속해왔다.

 

2015년 샌프란시스코 등 미국 내에 위안부 기념비를 설립하기 위해 두 공동의장은 판사직에서 은퇴하고 38개 비영리 단체와 위안부 정의연대를 만들어 활동해왔다.

 

이들이 걱정하고 있는 것은 한국 정부여당이 윤미향 횡령 의혹 사건을 감싸는 것이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국제적 운동에 미칠 악영향이다. 즉 이를 저해하려는 일본 내 세력들에게 이용당할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김대중도서관장인 박명림 연세대 교수도 어제 칼럼에서 정의연의 활동 방식에 대해 더이상 당사자들을 대상화 수단화하지 말자전시 인권 문제를 진영논리에 가둬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민주당은 당내 함구령을 내리며 윤미향 전 이사장을 감싸고 있다. 반면 국회법과 헌법을 지킨 소신 의원에게는 공천 탈락과 징계라는 이중 보복을 가했다.

 

민주당은 민주화 이후 지난 30년간 국회의 협치 전통과 국회법을 어기며 여야합의 없이 개원을 밀어붙이며 의회 1당독재를 꾀하고 있다.

 

참혹한 역사의 증인이자 피해자를 공격하고 국제적 지탄 대상이 된 소속 의원을 무조건 감싸는 민주당의 의회 1당독재를 절대로 용인할 수 없다.

 

2020. 6. 4.

미래통합당 원내대변인 최 형 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