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변인 공식 논평 및 보도자료입니다.
일본이 어제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또다시 조선인 ‘강제동원’을 언급하지 않아 빈축을 샀습니다. 지난해와 같이 일본 측 인사만 참가한 ‘반쪽’ 행사이자, 강제성 표현이 빠진 ‘맹탕’ 추도식이었습니다.
일본은 지난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며 매년 추도식을 열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차관급인 외무성 정무관이 참석한 지난해에 비해 올해는 그보다 격이 낮은 외무성 담당 국장이 참석한 점, 조선인 동원의 강제성이 충분히 담기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 진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강제노동의 역사를 인정하고 이로 인해 희생된 조선인의 희생을 기리고자 했다면, 그 취지와 성격에 걸맞은 형식의 추도식이 치러져야 마땅합니다. 그러나 지난해에 이어 올해 추도식에서 보인 일본의 무례함은 한일 관계에 찬물을 끼얹는 행태이자 유족들을 모욕한 처사와 다름없습니다.
일본은 지난 2015년 군함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때도 희생자추모센터 설치를 약속했지만 현장이 아닌 도쿄에 설치하고, 강제성을 부인하는 자료를 전시하는 등 신뢰성을 잃은 행보를 보여 비난을 산 바 있습니다.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이 되는 올해 양국은 정상회담 정례화와 교류 강화를 약속했지만, 일본이 지금처럼 과거사 문제를 직시하지 않고 부정한다면 미래지향적인 관계로 나아갈 수 없습니다.
통렬한 반성과 용기 있는 사과, 진정어린 화답이 있어야만 과거의 벽을 넘어 화해의 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일본은 스스로 성의를 보이지 않는다면 한일 관계 개선 기회는 날아갈 수밖에 없다는 것을 명심하고, 사도광산 희생자들과 관련된 약속을 이행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일본의 전향적 입장과 조치를 요구하며, 우리 정부 역시 외교적 면밀함을 발휘해주길 바랍니다.
2025. 9. 14.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최 보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