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변인 공식 논평 및 보도자료입니다.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임명 철회를 결정한 이재명 대통령이 금명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임명을 강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실은 이 후보자 임명 철회에 대해 “자격이 된다고 봤는데, 결국 여론의 벽을 넘지 못했다”고 했지만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여당 지도부의 의견이었다”는 이유로 인사 강행 배경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결국 교수 출신인 이 후보자를 희생양 삼아 현역 의원 출신인 강 후보자를 살리기로 했다는 대통령실의 자기 고백과 다름 아닙니다. ‘스스로 사퇴하지는 않겠다’는 강 후보자의 오기에, 이 대통령 스스로 “자신이 추천한 인물은 아니었다”고 했던 이 후보자만 유탄을 맞은 셈입니다.
두 후보자 모두 인사 청문회 과정에서 경중을 따지기 어려울 정도로 국민 정서에 반하는 의혹을 샀고, 해명 과정 역시 석연치 않았습니다.
오히려, 강 후보자는 함께 일했던 보좌진들의 갑질 피해 증언과 함께 민주당이 그렇게 동지 관계를 강조해 왔던 현직 보좌진들마저 등을 돌리는 등 조직의 내부 분열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또, 자신의 갑질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내 놓은 일방적 해명은 인사청문회 위증 논란을 야기하며 여성가족부 장관으로서 자격 없음을 여실히 보여줬습니다.
그런데도, 이 대통령이 강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겠다는 배경에는 지금의 높은 지지율에 취해 ‘그래서 어쩔 건데’라는 오만과 독선이 있습니다. 그러나, 당장의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높다고 해서 국민이 강 후보자의 여성가족부 장관 임명을 동의한 건 아닙니다.
이 대통령은 강 후보자 인사에 대해 국민의 이해를 바랄 것이 아니라 국민이 이해할 수 없는 인사에 대해 사과하고 임명을 철회해야 합니다. 그런 결정이야 말로 누군가의 을로 살며 억울한 일을 당해도, 갑질의 울분을 속으로 삼킬 수밖에 없는 사회적 약자의 마음을 헤아리는 일입니다.
반대로, 이 대통령이 국민 정서와 완전히 동떨어진 강 후보자 임명 강행에 나선다면 국민은 이번 인사를 이 대통령의 ‘인사 갑질’로 기억하게 될 것입니다. 그게 민심이고, 그런 민심이 부메랑이 돼 정권에 대한 불신을 키우고 있습니다.
2025. 7. 21.
국민의힘 대변인 정 광 재